[현장] 치협 제74차 정기총회 4월26일 울산

[행사] 치협 제74차 정기대의원 총회 울산 4월26일

Hit NEWs
[인터뷰] DV World 김양수 조직위원장 4월24일

덴탈프레스 새소식

덴탈프레스 뉴스

학술학회보철학회 4월19~20일 학술대회

덴탈프레스
2025-03-18

임플란트 보철의 시대적 진화, 대한치과보철학회 춘계학술대회 개최

디지털 치의학과 임플란트 혁신의 만남, 보철학회 제93회 학술대회

세계적 석학들과 함께하는 임플란트 치료의 최신 트렌드

디지털 임플란트 치료의 현재와 미래 조망 – 대한치과보철학회 학술대회 개최

전통과 혁신이 만나는 임플란트 패러다임 – 보철학회 제93회 학술대회

AI와 자율 치과 로봇 시대 임플란트 치료 현재와 미래

임플란트 치료의 원칙과 혁신, 미래를 논하다 – 보철학회 학술대회 4월 개최

대한치과보철학회(회장 곽재영)는 오는 4월 19일(토)부터 20일(일)까지 이틀간 세종대학교 광개토관에서 ‘임플란트 보철의 시대적 진화: 과거의 원칙, 현재의 혁신, 미래의 가치’를 대주제로 제93회 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디지털 치의학이 가장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는 임플란트 치료의 원칙과 혁신, 미래 전망을 집중 조명할 예정이다. 학술대회 전후로 4월 13일(일)부터 27일(일)까지 2주간 보철학회 온라인 교육원(edu.kap.or.kr)에서 사전 강의 영상을 제공한다.

 

사전 VOD 강의는 두 가지 발제 강연으로, 임상 술식 부문에서 임플란트 임상 성공을 위한 전략(조선대, 이경제 교수)과 혁신 기술 부문에서 임플란트 치료의 새로운 기준인 디지털 워크플로우(남상치과, 김기성 원장)를 준비하였다. 또한, 임플란트 치료를 계획할 때 빠질 수 없는 전신 질환 요소 중 하나인 골다공증 약물 치료와 관련된 “MRONJ(약제 관련 턱뼈 괴사)”를 다루어 의료 협진의 중요성을 강조할 예정이다.

 

Special lecture 

 

저명한 해외 연자들의 특별 강연이 준비되어 있다. 먼저 Harvard 치과대학 German GALLUCI 교수가 심미적인 영역에서 디지털 기술이 임플란트 치료에 어떻게 접목되는 지에 대해 강연할 예정이다. German GALLUCI 교수는 현재 Harvard 치과대학 수복치과학 및 생체재료과학 연구실의 부서장으로 재직 중이고, 2007년 Harvard 치과대학의 대학원 과정에서 임플란트학을 처음 개설하였다. 주된 연구는 고정성 보철학 및 임플란트학, 심화 디지털 기술 분야로, 이번 학회는 German GALLUCI 교수의 인사이트를 공유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베이징대학교 임상부의 Feng LIU 교수와 Tao YU 박사는 “컴퓨터 가이드 수술의 현재와 미래”라는 주제로 자율 치과 로봇 시스템을 소개한다. 로봇 수술 기술은 기존 3D 프린팅 가이드가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고, 신속한 계획 조정이 가능한 임플란트 수술 시스템으로, 미래의 임플란트 치료 패러다임을 바꿀 중요한 주제가 될 것이다. 이러한 최신 기술이 현재 치의학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으며,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발전할 수 있을지 함께 논의하는 뜻깊은 시간이 될 것이다. 

 

학술대회는 치과보철학의 미래의 주역인 전공의들의 다양한 증례 및 포스터 발표로 시작되며, 온라인 사전 강의에서 제안한 성공적인 임플란트 치료를 위한 술식과 혁신 기술에 대해 다각적 논의가 진행될 예정이다. 

 

Symposium & Panel discussion

 

심포지엄에서는 임플란트 술식 및 재료의 최신 경향에 대해 논의한다. 효율적이고 간단한 기술을 활용한 최신 임플란트 수술 방법으로 골결손부 해결을 위한 간단한 GBR 테크닉(원치과, 창동욱 원장), Osseodensification technique을 활용한 임플란트 식립(전북대, 서재민 교수), 콜라겐 매트릭스를 이용한 임플란트 주변 연조직 증강술(서울대, 김성태 교수)을 설명한다. 또, 재료 측면에서 진화하는 임플란트 디자인과 임상 적용(전북대, 윤정호 교수), PDRN의 올바른 이해와 골면역학(연치과, 윤종일 원장)에 대해 소개한다. 패널 디스커션에서는 실패한 임플란트를 치료하면서 유지, 관리할 것인지 아니면 발거할 것인지에 대해 보철 및 치주, 구강외과적 관점에서 다각적으로 고찰하는 세션과 치료 계획 수립 시 다양한 임플란트의 선택 기준에 대해 논의하는 세션을 준비했다.

 

Expert forum

 

Expert forum에서는 임플란트 합병증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문제의 해결을 도모한다. 미생물학적 관점에서 임플란트 주위 뼈의 안정성을 좌우하는 요인들(경희대 미생물학교실, 곽규한 교수)을 알아보고, 임상에서 마주하는 다양한 임플란트의 기계적 합병증에 대해 고찰하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임상 팁(경희대, 홍성진 교수)을 제공한다. 또, 전악과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임플란트 치료의 성공 노하우를 공유하는데, 임플란트 개수에 따른 전략적 치료 계획(부산대, 허중보 교수)과 전악 혹은 부분 무치악 수복 시 핵심적 고려 사항에 대한 상세한 설명(분당서울대, 이양진 교수)이 제공된다.

 

Prosthodontic treatment strategies

 

동영상 중심의 강의로 상악 전치부 임플란트 치료 시 심미적인 연조직을 위한 임상 노하우(연수서울치과, 김재윤 원장)와 디지털 접근 시의 다양한 보철 임상 팁(연세대, 오경철 교수)을 공유한다.  

 

Master forum

 

학술대회를 마무리하는 피날레로 전통과 혁신이 공존하는 임플란트학의 발전 방향을 논의한다. 전남대 박상원 교수와 서울대 한중석 교수가 전통적인 접근법에서 배운 임플란트와 성공적인 임플란트 치료를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시작에 대해 정리하며 마무리한다. 

 

추가적으로, 임플란트 치료와 관련된 의료 분쟁을 다루는 세션(강치과의원, 이강운 원장)도 마련되어 필수 교육 점수도 얻을 수 있다. 

 

보철학회 곽재영 회장은 ‘한국에 임플란트가 처음 소개된 이후, 임플란트 치료는 지속적으로 발전해 치과 치료의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디지털 덴티스트리가 가장 활발하게 적용되는 분야로, 치료 과정의 혁신을 이끌어가고 있습니다. 최신 학문적· 임상적 지식뿐만 아니라, 오랜 경험과 전통적인 원칙을 공유하고 논의할 강의들을 준비하였으니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리며, 이번 학술대회가 여러분께 새로운 배움과 영감을 제공하는 뜻깊은 시간이 되기를 바랍니다.’고 하였다.


 

/ 제호 : 덴탈프레스 / 서울특별시 강서구 양천로 583, B동 710호

/ 전화번호 : 010-3665-7582/ 발행일 : 2024.03.03 / 발행인: 박종운

/ 편집인 : 양정강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종운 

/ 등록번호 서울,아55321  / 등록일 2024년 2월28일 


신문사소개 

COPYRIGHT 2024 덴탈프레스 

/ 제호 : 덴탈프레스 / 서울시 강서구 양천로 583, B동 710호(염창동, 우림블루나인비지니스센터) 

/ 전화번호 : 010-3665-7582/ 발행인: 박종운 / 편집인 : 양정강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종운
 / 등록번호 서울,아55321  / 등록일 2024년 2월28일


COPYRIGHT 2024 덴탈프레스